-
유리기판 업계 탑픽은 누구인가카테고리 없음 2024. 5. 30. 16:38유리기판
AI 관련 산업이 확대되면서 반도체 유리기판이 주목도가 높아지고 있다. 현재 시점에서 유리기판 관련 업계 탑픽을 알아보려 한다.
언론 보도https://v.daum.net/v/20240318160134339
[이슈플러스]미래 반도체 패키징 좌우할 '유리기판' 시장 개화...“양산 속도전 시작”
반도체 유리기판 시장이 열렸다. 차세대 기판으로 손꼽히며, 첨단 패키징 핵심으로 급부상한 유리기판 시장을 선점하려는 업계 쟁탈전이 시작됐다. 유리기판은 기존 플라스틱(유기) 소재 대비
v.daum.net
https://www.sedaily.com/NewsView/29UQDXWLKF
인텔 '유리기판에 1조 투자'…2030년 양산땐 패키징 지각변동
산업 > 기업 뉴스: 인텔이 차세대 ‘유리 기판’ 시장 선점에 속도를 올리고 있다. 자사 인공지능(AI) 칩 제작 외에도 파운드리(칩 위탁 생산) 공정...
www.sedaily.com
https://www.mk.co.kr/news/business/11023274
[단독] 반도체 유리기판 내년 양산…"데이터 속도 높일 게임체인저" - 매일경제
SKC, 반도체 소부장기업 최초 美보조금 받아세계 첫 유리기판 상용화美 조지아공장 2공장도 증설플라스틱 기판보다 두께 얇아전력 소비량 30% 넘게 줄여빅테크 수요 잇따를듯삼성·LG도 시장 뛰어
www.mk.co.kr
https://www.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2405240113&t=NNv
인정받은 SKC 유리기판 질주 엔터프라이스
<기자> 유리기판 분야에서 선두를 달리고 있는 SKC의 자회사 앱솔릭스가 미국으로부터 보조금을 받게됐다는 소식이 전해졌죠. 반도체 소부장 기업중 보조금을 받은 사례가 처음이어서 미국으로
www.wowtv.co.kr
유리기판 시장 규모첨단 패키징 시장 규모는 2023년 약 46조에서 2030년 약 78조로 성장한다고 본다. 주요 생산 업체를 보면 국내는 앱솔릭스(SKC 자회사), 삼성전기, LG이노텍이며 해외 업체는 미국 인텔과 일본 업체 2개 정도이다. 유리기판 양산 및 개발 현황을 보면 SKC 앱솔릭스가 24년 올해 시제품 생산 계획을 가지고 내년 2025년부터 대량 생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외 다른 기업들은 빨라야 2026년 또는 2027년 양산 목표를 가지고 있으며 인텔은 2030년까지 양산 목표를 잡고 있다. SKC 앱솔릭스가 목표대로 양산에 돌입하면 최소 1~2년간 시장 독점을 할 수 있는 구조이다.
출처 : 전자신문 출처 : 전자신문 유리기판을 주목하는 이유반도체집적회로 성능향상의 진전을 대표하던 무어의 법칙이 한계에 부딪히면서 AI 성장과 더블어 요구되는 반도체 성능향상을 위한 기술이 반도체칩에서 패키징으로 넘어가고 있다. 이러한 기술의 변화에서 유리기판은 기존 반도체 기판의 유기 인터포저의 기술적 한계를 극복하는 실리콘 인터포저의 가격문제를 동시에 해결하는 중요한 소재로 등장했다. 유리기판은 유기 인터포저의 기판 조합의 단점을 극복하면서 실리콘 인터포저의 높은 가격과 설비 투자 리스크를 상쇄시키는 대안이 됩니다.유리기판 기술력ㅣ유리기판은 신소재
유리기판은 AI 산업을 뒷받침할 차세대 반도체 성능을 향상시킬 주요 소재입니다. 현재 세상에 존재하지 않습니다. 세계최초로 SKC 앱솔리스가 2024년 시제품을 시작으로 2025년 양산 목표를 잡고 있습니다. SKC가 시제품 준비를 위해 수년간 연구 개발을 준비한 결과가 이제 서서히 나오고 있습니다.
ㅣ인텔 2030년 양산 목표
세계적 기업인 인텔이 2030년 내 업계 최초로 유리기판 적용한 칩 양산 목표를 잡고 있습니다. 이것을 위해 이미 10년 전부터 연구를 시작했다고 합니다. 그리고 현재 미국 애리조나 챈들러 지역에 약 1조 3000억 규모의 유리 기판 연구개발 라인을 갖췄다고 합니다. 인텔이라는 세계적 기업조차 10년 전부터 연구를 시작해 지금 연구개발 라인을 갖추는 정도입니다.
유리기판 탑픽 기업SKC 앱솔릭스는 현재 시운전 테스트를 하면서 유리기판 업계 개발 속도에서 가장 선두에 있습니다. 물론 시제품 개발단계이며 양산에서의 수율등 넘어야할 과제들이 있습니다. 투자는 이러한 산업 성장에 대한 예측과 실적을 토대로 합니다. 산업 성장에 대한 기대면에서 SKC 앱솔릭스는 업종 탑픽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실적은 현재 나오지 않은 상태입니다. 그러나 투자는 리스크를 감수하며 길목을 노려야 합니다. 현재가 그 길목인지는 다양한 의견이 있겠지만 저는 조정을 받는 구간에서 추가 매입을 고려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