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송촌놈 신창환 선생 DMI 매매법(10일>20일 이평선 골든+CCI 합성)카테고리 없음 2023. 4. 25. 19:54
청송촌놈 신창환 선생님이 가장 선호한다는 지표를 사용한 매매법입니다.매매법입니다. 그만큼 신뢰도가 높은 매매 원칙입니다. 사용하는 주요 지표는 DMI와CCI 지표를 사용합니다. DMI 지표 중 마이너스 지표를 가장 우선으로 봐야 합니다. 그리고 주요 매매 구간은 10일과 20일 이동평균선 골든크로스 지점입니다. 이 세요소를 가지고 매수와 매도 시점을 살펴보겠습니다.
캔들볼륨차트로 지지와 저항선 그리기
위 차트에서 가장 위쪽에 3개의 빨간색 수평선이 있습니다. 그것은 캔들볼륨차트를 가지고 그린 선입니다. 이 선은 주가의 지지와 저항선이 됩니다. 위 차트에서 이 저항선을 돌파하면서 주가가 급등합니다. 그리고 주가의 지지선 역할도 합니다. 이 선에 지지되면서 주가는 상승하는 에너지를 얻게 됩니다. 이 선을 통해 주가의 상승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고 손절매 가격대를 정할 수 있으며 고점의 저항선을 예측할 수 있어 매도시점도 미리 파악할 수 있습니다.
10일20일골든크로스 정확한 매수시점 잡기
청송촌놈 신창환 선생님이 잡아주는 매수 시점입니다. 10일과 20일 이동평균선의 골든크로스 발생 시점을 주요 매수 시점으로 잡습니다. 그러나 골든클로스 발생 후 주가가 오히려 떨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불확실성을 잡아주는 매매법입니다. 10일 20일 이평선 골든크로스 발생 시점에 DMI와 CCI 지표를 통해서 좀 더 신뢰도 높은 매수 시점을 잡을 수 있습니다. 청송촌놈 신창환 선생님은 10일 20일 이평선 골든크로스 후 팔자 많고 사자 적으면 주가는 횡보한다고 하였습니다. DMI 마이너스 선(파란색)은 팔자 즉 매도세를 보여주는 지표이고 DMI 플러스(빨간색)는 사자 즉 매수세를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위 차트에서 10일 20일 이평선 골든크로스 시점에 DMI 지표에서 파란색 DMI 마이너스 선이 빨간색 DMI 플러스 선 위에 있음을 볼 수 있습니다. 이것은 팔자가 많고 사자가 적은 청송촌놈 신창환 선생님이 말씀하신 주가가 횡보하게 되는 구간입니다. 위 차트에서 골든크로스 이후 주가는 횡보하면서 하락합니다. 그리고 CCI도 침체구간입니다..
DMI 마이너스와 CCI 과열구간 최적의 매수 시점
저점은 아무도 모릅니다. 안전한 구간에서 적절한 가격에 매수하고 매수 이후 상승하는 구간을 찾는 것이 목표입니다. 청송촌놈 신창환 선생님이 말씀하신 매수시점은 DMI 마이너스가 1010 이하 침체 진입시기에 CCI 과열 진입 구간입니다. 10일 20일 이동평균선 골든크로스 발생이 나면서 이러한 지표 신호가 나오면 매수 시점으로 잡으면 거의 실패하지 않는 투자 시점입니다. 이때 ADX가 상승하면서 30선 근처나 돌파를 하면 더욱 신뢰도가 높습니다.
매도시점은 과감하게 미련없이 (CCI 과열 이탈+DMI 마이너스 침체 돌파+ADX 30이탈)
매도시점은 기본적으로 CCI 과열 이탈 구간을 잡으면 됩니다. 이때 ADX가 30선을 돌파하지 못하거나 바로 이탈하거나 하면 매도 신호 신뢰도가 높으며 또한 DMI 마이너스가 10선을 돌파하면 더욱 신뢰도가 높은 매도 시점입니다. CCI 과열 이탈 발생하더라도 ADX가 30선 이상 과열 구간을 유지하고 DMI 마이너스가 침체구간에 있으면 홀딩하고 있으면 됩니다. 10일 20일 골든크로스를 유지하는 구간에서는 이러한 원칙을 잡고 접근하면 수익 실현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캔들볼륨차트를캔들볼륨차트를 통해 지지와 저항선을 예측하여 매매시점을 잡으면 좀 더 신뢰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위 차트에서 빨간 수평선에 가까워지면 매도 물량이 나오면서 주가가 저항을 받고 있는 모습을 쉽게 볼 수 있습니다.
어떤 지표도 100% 성공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주식 시장은 다양한 시장의 이해관계가 모여 변동성을 만듭니다. 기법들을 자신의 수준에서 연습을 통해 나만의 매매 원칙으로 만들어야 주식 시장에서 살아남을 수 있습니다. 긴 호흡으로 자신의 수준에 맞추어 투자 시장에 대응하며 생존을 목표한다면 반드시 수익 실현을 통해 각자의 목표를 성취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출처 : 청송촌놈 신창환 선생님의 기술적 분석